IT정보31 [Java]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차이 오버로딩 이름은 같지만 파라미터 수, 타입은 다른 메소드를 중복으로 선언하는 것 오버라이딩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 동작 방법을 변경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 오버라이드 하고자 하는 메소드가 상위 클래스에 존재해야 한다. 메소드 이름이 같아야하며, 메소드 파라미터 개수, 파라미터 자료형이 같아야한다. 메소드 리턴형이 같아야한다. 2022. 9. 22. [운영체제] page fault 성능저하율 1) 프로세스 내부 테이블을 검사하여 해당 메모리 참조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유효하다면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한다. 2) invalid page 에 접근하면(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와있지 않은 경우) MMU가 trap을 발생시킨다. 3) 운영체제는 CPU 동작을 잠시 멈추고 요구된 페이지를 가상메모리에서 찾는다. 4) 해당 페이지를 비어있는 프레임에 할당한다. 물리 메모리에 비어있는 프레임이 없다면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통해 교체될 프레임을 찾은 후 페이지를 로드한다. 5) 페이지 테이블과 내부 테이블을 갱신한다. 6) 다시 명령어로 돌아가서 중단되었던 CPU를 다시 실행한다. 평균 페이지 교체 시간 8ms (=8,000,000ns) memory access time 200ns effective acces.. 2022. 9. 8. [Network] 기본 중 기본 OSI 7계층 OSI 참조 모델 정의 OSI 참조 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이다. 개방형 시스템 간의 데이터 통신 시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했다. 참조모델은 통신 회선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개방형 시스템이 통신망 상에서 특정한 업무를 분산하여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간의 협동적인 동작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하위 계층: 물리-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계층 상위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OSI 참조모델의 목적 -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한다. - OSI 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범위를 정한다. - 관련 규정의 적합성을 조절하기 위한 공통적 기반을 제공한다. 물리 계층 - 리피터, 허브 - 물리 계층은 전송에.. 2022. 8. 31. [Network] 대칭키 공개키 요약: 큰틀에서의 차이를 보면,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방식을 말한다. 그와 달리,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르며 따라서 비대칭키 암호화라고도 한다. 따라서 공개키 암호화 에서는 송수신자 모두 한쌍의 키(개인키, 공개키)를 갖고있게 된다. 대칭키(Symmetric Key)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키(대칭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 동일한 키를 주고받기 때문에,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대칭키 전달과정에서 해킹 위험에 노출가능성이 있따. - DES, AES, 아리아, 시드 등이 있다 공개키(Public Key)/비대칭키(Asymmetric Key)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암호키를 분리한 알고리즘 대칭키의 키 분배 문제를 해결하.. 2022. 8. 30.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