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31 [면뽀]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google.com 입력하면? www.google.com 을 브라우저 주소창에 친다. 요약. 1. URL 해석 2. 브라우저가 도메인에 대응되는 IP주소 있는지 확인 2-1. 없으면 DNS서버가 DNS query 날림 3. 브라우저가 IP주소 받으면 서버와 TCP connection 4.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요청 5.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response 생성 6. 서버가 HTTP response 보냄 7. 브라우저가 HTML content를 보여줌 URL 해석 - 문법에 맞지 않다면, 기본 검색엔진으로 검색한다. 주소창에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구글, 네이버 등으로 리다이렉트 되어지는 것이다. - 문법에 맞다면, URL의 호스트 부분을 인코딩한다.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목록을 .. 2022. 2. 14. Library VS Framework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차이는 뭘까??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는 둘 다 누군가 써놓은 코드를 우리가 가져다가 쓰는 것들이다. 차이점은 누가 누구를 컨트롤 하는가에 따라서 생긴다. - 우리가 코드를 컨트롤 하는건가? 우리가 결정을 하는건가? - 누군가 정해준 규칙을 따라하고 있는가?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의 가장 좋은 예시는 jQuery 이다. jQuery 는 웹 사이트에 인터랙티브한 요소를 넣을 수 있다 웹 사이트를 코딩하면서 내가 필요할 때 제이쿼리를 부른다. 그리고 "내가" 코딩을 해나간다. 라이브러리는 다른 것으로 대체 할 수 있다. 쉽게 비유 하자면 톱, 망치, 삽 같은 도구이다. 사람들은 도구를 사용하여 썰고, 박고, 땅을 판다. 급할 때는 톱으로 못을 박을 수도 있다.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프레.. 2021. 12. 6. Native, Hybrid, Cross-platform App 차이 Native App - 애뮬레이션이나 호환 모드의 사용 등 외적인 지원 없이, 특정 하드웨어나 OS에서 그대로 실행되는 것을 Native라고 한다. -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라는 개발환경에서 Android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다양한 API를 활용해서 Java, kotlin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다. - 아이폰은 MacOS에서 XCode라는 개발환경을 이용해서 맥OS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해서 object C, Swift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즉, Native는 각각의 다른 운영체제 에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다른 개발툴을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장점 - 각각의 운영체제에서 추구하는 룩앤필을 잘 살릴 수 있고 플랫폼에 최적화된 성능 뿐만 .. 2021. 12. 5.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