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참조 모델 정의
OSI 참조 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이다.
개방형 시스템 간의 데이터 통신 시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했다.
참조모델은 통신 회선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개방형 시스템이 통신망 상에서 특정한 업무를 분산하여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간의 협동적인 동작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하위 계층: 물리-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계층
상위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OSI 참조모델의 목적
-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한다.
- OSI 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범위를 정한다.
- 관련 규정의 적합성을 조절하기 위한 공통적 기반을 제공한다.
- 물리 계층
- 리피터, 허브
- 물리 계층은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등 기계적 전기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
- 즉,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진행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은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간 연결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
- 프레임 순서적 전송 위한 순서제어기능
-주요 기능: 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화, 오류 제어, 순서 제어
- 네트워크 계층
- 라우터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 교화 및 중계 기능
-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
- 전송 계층
- 게이트웨이
- 전송계층은 종단 시스템 간의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기능
- TCP, UDP 등의 표준
- 세션 계층
-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을 담당한다.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담당
- 표현 계층
- JPEG, MPEG 등
- 데이터 표현에 대한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응용 계층
- HTTP, FTP, DNS 등
- 최종 목적지로,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우편,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
'IT정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대칭키 공개키 (0) | 2022.08.30 |
---|---|
[Networks] HTTP & HTTPS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