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31 [북털] CORS란? CORS 에러 CORS란 브라우저에서는 보안적인 이유로 cross-origin HTTP 요청들을 제한한다. 그래서 cross-origin 요청을 하려면 서버의 동의가 필요하다. 만약 서버가 동의한다면 브라우저에서는 요청을 허락하고, 동의하지 않는다면 브라우저에서 거절한다. 이러한 허락을 구하고 거절하는 메커니즘을 HTTP-header를 이용해서 가능한데, 이를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라고 부른다. 그래서 브라우저에서 cross-origin 요청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다. -> cross origin 이란? cross-origin이란 다음 중 한 가지라도 다른 경우를 말한다. 프로토콜 - http와 https는 프로토콜이 다르다. 도메인 - domain.com과 .. 2022. 2. 16. [Javascript] var, let, const 차이, Hoisting(호이스팅) Javascript 변수 선언 방식에는 var, let, const가 있다. VAR var은 재선언을 해서 출력하더라도 에러가 나지 않고 각각 다른 값을 출력한다. var은 유연함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코드량이 많아 진다면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 될지도 파악하기 힘들고, 값이 바뀔 우려가 있다. 그래서 var은 쓰지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var을 대체할 변수 선언 방식은 아래에 나온다. let / const ES6 이후 let과 const 변수 선언 방식이 추가되었다. let을 사용하여 같은 이름의 변수를 두 번 만들어 다른 값을 넣으려고 하면 이미 선언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const도 마찬가지이다. let과 cosnt의 차이는 재할당 이다 let은 변수에 재할당이 가능하다. let greet = '.. 2022. 2. 15. [북털] HTML vs PHP HTML vs PHP - HTML 만으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 - 정적인 웹페이지, 언제나 동일한 내용이다. - PHP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 - 동적인 웹 페이지. 요청할 때 마다 만들어진다.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index.html 요청 요청을 받은 서버 컴퓨터에 설치되어있는 웹 서버가 확장자인 html 을 보면 웹 서버가 직접 처리할 수 있다. 서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설치되어있는 htdocs 라는 디렉터리에서 index.html 파일을 읽어서 바로 웹 브랑저에게 전송해준다. 웹 브라우저는 코드의 내용을 해석해서 화면에 출력한다.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index.php 라는 확장자의 파일을 요청 웹 서버는 확장자가 php인 파일을 직접 처리하지 못한다. 그래서 웹 서버는 이를 처리할 수 있는 PHP .. 2022. 2. 15. [북털] async & await, Promise와 차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비동기 처리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다. Callback, Promise, async/awiat 이다. async와 await는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 패턴 중 가장 최근에 나온 문법이다. 기존의 비동기 처리 방식인 콜백 함수와 프로미스의 단점을 보완하고 개발자가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async & await 기본 문법 하지만 async/await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는데, await 는 async 함수 안에서만 동작한다. 함수 앞에 asyncs 라는 예약어를 붙인다. 그러고 나서 함수의 내부 로직 중 HTTP 통신을 하는 비동기 처리 코드 앞에 await를 붙인다. * 주의해야할 점은 비동기 처리 메서드가 프로미스 객.. 2022. 2. 15. 이전 1 ··· 3 4 5 6 7 8 다음